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4

PB 파티클보드 저가 가구의 진실 - 인테리어 자재이야기 5 파티클 보드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집, 사무실, 가구 등 주변을 둘러보면 파티클 보드로 만들어진 제품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정작 파티클 보드가 무엇인지, 어디에 사용이 되었는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죠. 오늘 우리는 파티클 보드의 숨겨진 비밀을 파헤쳐 보겠습니다. 파티클 보드란? 파티클보드는 가구나 건축 자재로 흔히 사용되는 목재 합성 제품입니다. 대분의 저가형 가구제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구 제작 시에 고급 가구의 경우 원목 중가 제품의 경우 MDF 혹은 합판을 사용하지만 대량생산되는 저가형 가구 예를 들어 사물함이나 신발장들의 제품이 마감재 파손 시에 단면이 작은 나무조각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품들은 파티클보드 제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024. 3. 7.
습기에 강한 목재 규격과 종류 히노키, 스기, 시프러스 - 인테리어 자재이야기 4 목재는 건축, 가구 제작, DIY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재료입니다. 하지만 다양한 종류의 목재가 존재하며, 각각 특징과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선택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히노키, 스기(적삼목), 사이프러스(시프러스)라는 습기에 강한 3가지 목재의 특징, 규격, 활용 등을 비교하여 목재 선택에 도움을 드립니다. 규격과 종류 아래의 수종들은 대부분 사전 제작 일반적인 제품들을 사용하기보다는 주문에 따른 특수 제작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판매자에게 정확한 치수를 제공하면 그에 따른 비용을 회신받는 방법이 일반적입니다. 대부분 12T, 18T, 30T의 제품에 길이는 7Ft~10FT의 자재가 주로 활용됩니다. 히노키 (편백나무) 일본 편백나무 붉은 색조, 아름다.. 2024. 3. 6.
각재 규격과 종류 - 인테리어 자재이야기 3 안녕하세요 오늘은 인테리어 및 건축 그리고 유통에서도 다방면으로 사용되는 각재에 대해서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자재에 따라 명칭이 같지만 규격이 다르기도 하고 많이 헷갈리 수 있기에 목재의 성질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용도와 본인의 상황에 맞게 구매할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각재의 규격 가장많이 쓰이는 규격은 30*30*3600이고 한단에 12개가 기본적인 규격입니다. 각재의 규격은 판재가 Ft 단위로 불리는 것과는 다르게 inch 단위를 쓰인다고 생각하면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자재에 따라 같은 명칭이지만 실제 규격은 다르기에 정확한 구분이 필요합니다. 흔히들 이야기하는 다루끼, 투바이, 산승각, 오비끼등의 이름은 목재의 규격에 따라 다르게 불립니다. 제품의 규격은 MM 단위로 표기되.. 2024. 3. 5.
MDF 합판 규격과 사용 - 인테리어 자재 이야기 2 MDF(Medium Density Fibreboard) 패널은 목재 섬유를 압축하여 만든 인공 판재입니다. 저렴한 가격, 뛰어난 가공성, 다양한 표면 처리 가능성 등으로 가구 제작, 건축, 인테리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그리고 인공적으로 패널을 만들며 화학 약품을 첨가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화학물질로 인해 새집증후군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MDF 합판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역사 MDF는 1960년대에 개발되었으며,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상용화되었습니다. 초기 MDF는 밀도가 낮고 강도가 약한 단점이 있었지만, 기술 발전으로 현재는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뛰어난 MDF가 생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고밀도의 제품은 합판과 비교하여 표면은 매끄러우나 가격경쟁력이 부족하여 일부 매.. 2024.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