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54 경량 천정재 엠바, 파워바, 티바 - 인테리어 자재이야기 8 천장은 단순히 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넘어, 인테리어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을 갖춘 천장재가 등장하면서, 건축물의 분위기와 개성을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싼 금속 천정재 대신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경량 천정재의 대표적인 종류인 엠바, 파워바, 티바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각각의 장단점과 활용 팁을 공유합니다. 많은 경량 천정재는 기본적으로 천정에 달대볼트를 시공하고 달대볼트에 클립을 이용해 캐링 찬넬로 보강하고 캐링 찬넬에 엠바 혹은 티바를 클립으로 엮어 하나의 천정 마감재를 붙이는 형태로 조성됩니다. 특이하게 파워바의 경우 파워바로 보강을 하고 파워바로 골조를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집니다. 오늘은 가장 널리 이용되는 LGS(Light .. 2024. 3. 11. 경량벽체 스터드 종류와 규격 - 인테리어 자재이야기 7 스터드(Stud)는 경량 철골 구조물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수직 기둥 부재를 말합니다. 경량 스터드 월(Light Gauge Steel Framing)은 인테리어 내부 공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건식 공법(Drywall System) 중 하나입니다. 목조 가옥 대신 철골 구조가 일반화되면서 건물 내부 칸막이 벽체 공사에도 경량 스터드 월 공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스터드는 건축물의 내부에 주로 사용되는 경량 벽체 등을 구성하는 보강재로 주로 사용되며 그 위에 건재(석고보드, 합판 MDF)를 1차 부착하고 마감재를 추가로 부착하여 내부 마감을 진행합니다. 부착되는 부재에 따라 간격과 스터드의 두께와 간격을 달리하여 견딜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착되는 부재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간.. 2024. 3. 10. 2024년, 봄맞이 자연을 품은 인테리어 트렌드 기분 좋은 봄바람이 불어오는 요즘, 우리 집 분위기도 한번 새롭게 바꿔보는 건 어떨까요? 전문가들은 2024년 봄 인테리어 트렌드로 '자연친화적이고 평화로운 분위기'를 꼽고 있습니다. 팬데믹 이후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집에서도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공간을 원하는 니즈가 반영된 것이죠. 이에 맞춰 부드러운 색감, 천연소재, 곡선 디자인, 수공예 제품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햇살, 바람, 식물 등 자연 요소를 최대한 끌어들여 내추럴 리빙을 실현하는 게 2024년 인테리어의 핵심 키워드라고 할 수 있겠네요. 자, 지금부터 2024년 봄 인테리어 트렌드를 하나씩 알아볼까요? 파스텔컬러의 부드러운 분위기 2024년 인테리어에서 주목해야 할 첫 번째 키워드는 '파스텔 톤'입니다. 라벤.. 2024. 3. 9. 무늬목 제조방식에 따른 특성 - 인테리어 자재이야기 6 오늘날은 무늬목 시트지로 질감의 표현까지 가능하기에 아직까지는 따라올 수 없는 가구와 벽면등에 프리미엄 마감재로 많이 쓰이는 진짜 무늬목의 감성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무늬목은 목재를 가공하여 포장재처럼 소재의 표면에 얇게 붙인 형태의 마감재로, 나무의 질감을 살리고 원목대비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사용되며 다양한 방식으로 디자인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흔히 들어본 월넛, 오크, 티크, 애쉬 등의 나무의 종류(수종)에 따라 나누어지나 예전에는 목재의 특성에 따라 원목 혹은 무늬목을 사용할 경우에도 나무 수종별 특성을 벗어날 수 없었으나 현대에 와서는 무늬목의 가공방식과 착색등에 따라 다른 무늬목으로 충분히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에 오늘은 목재의 수종보다는 여러 가지 제조방식에 따른 무늬목의 특징에 대.. 2024. 3. 8. 이전 1 ··· 4 5 6 7 8 9 10 ··· 14 다음